'바비', '마이삭'에 이어 10호 태풍인 '하이선'이 온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날씨 예보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장마기간 동안 비 예보에 대한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 기상청을 피해 일명 '기상망명족'까지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 태풍 '바비' 때도 예보보다 심각하지 않는 수준으로 그치면서 점점 더 신뢰도를 잃어가고 있는 듯 하다.

 

사전 자료 조사에 따르면 기상청의 변론은 다른 일반 기상 어플보다 (당연하겠지만) 훨씬 방대하고 양질의 자료들을 가지고 있고, 그에 따른 예보를 하기 때문에 예보에 대한 신뢰를 해달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실제로 예보에 따라 생활하는 국민들 입장에서는 날씨가 중요해지는 장마, 태풍 등의 상황에서 최근 높은 확률로 신뢰도가 떨어진 예보를 한 기상청을 마냥 믿을 수 만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오늘은 '기상망명족'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윈디' 라는 사이트와 노르웨이 기상청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어플은 따로 다루지 않는다.)

 

 

 

1. 기상청 날씨누리 - www.weather.go.kr/plus/typ/report.jsp

흔히 '네이버'에 태풍 또는 태풍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이미지에 나오는 화면을 제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예보보다 글을 작성하는 현재도 경로가 꽤 수정된 모습이다.

사실 예보라는 것은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당연히 예보가 맞게끔 수정 될 수 밖에 없는 것을 고려했을 때, 경로가 최초 예보보다 많이 동해쪽으로 수정됐으므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볼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우리나라는 영국 모델(UM)과 올해부터 사용하는 한국형 기상 모델(KIM)을 사용하고 있다.

 

 

2. 윈디 - www.windy.com/

 

Windy as forecasted

Wind map and weather forecast

www.windy.com

윈디는 화면처럼 직관적으로 보기에 참 좋게 되어 있었다.

자동으로 언어가 한국어로 되고, 재생 버튼을 통해 실시간으로 태풍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도 볼 수도 있다.

글을 작성하는 현재는 기상청 예보와 비슷한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사전 조사에 따르면 체코의 한 프로그래머가 개발하였고, 유럽중기예보센터(DECMWF)의 예보모델을 따른다고 한다.

어느 기상 예보 사이트가 경로를 더 정확히 맞추는지는 사실 알 수 없다.

하지만 여러 모델을 따른 기상예보를 참고하여 대비하는 것은 나쁘지 않은 것 같다.

 

 

3. 노르웨이 기상청 - www.yr.no/

 

Yr – Weather forecasts for Norway and the world from the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and the NRK

Øs, pøs! Mykje nedbør pÃ¥ #Svalbard siste døgn 🌧️ Mest nedbør kom pÃ¥ Hornsund med 44,8 millimeter pÃ¥ 24 timar. Kartet syner ogsÃ¥ prosenten nedbøren utgjer av normal nedbør for heile september 👀 pic.twitter.com/FrB

www.yr.no

노르웨이 기상청은 해외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동네 예보까지 1시간 단위로 볼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가진다.

사이트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지만 검색은 한글로 해도 되기 때문에 사용도 크게 어렵지 않다.

하지만 노르웨이 기상청은 사진처럼 태풍의 경로를 보는 것은 직관적인 부분은 떨어지는 것 같다.

그리고 해당 화면을 보기까지 거쳐야하는 과정들이 있다. (따라서 이부분은 아래에 자세한 사용법을 설명해두었다.)

사전 자료조사에 따르면 YR은 2007년 노르웨이 기상청과 노르웨이 공영방송사인 NRK가 합작으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기상 예보 모델은 유럽 모델(ECMWF)을 사용한다고 한다.

 

※ 노르웨이 기상청 레이더 화면 보는 법

더보기

1. 언어 선택 - 'English'

2. 서울 검색 - 'seoul' 검색

3. 예보 확인

4. 태풍 확인 - 3단계 '지도' 클릭 - 언어 선택 - 'English'

5. 태풍 확인 - 언어 선택 후 화면이 초기화 됨 - '월드' 선택 - 위치 재조정 후 확인

 

 

Posted by robo9
,